서시 – 인도 »산스크리트극«을 펴내면서
- 브레히트가 직접 접했을 산스크리트극에 대한 두 이론서
여기 결코 흔치 않은 산스크리트극에 대한 두 권을 소개하네!
영국 산스크리트어학자 윌슨 저서의 독역 『Theater der Hindus´s』를
노르웨이 인도학자 코노프가 쓴 『Das indische Theater』를
현대 서사극 창시자인 브레히트 분명 이 두 책을 접했다네.
브레히트 자신을 작가로 발굴한 스승을 통해 일찍이 접했다네!
포이히터방어가 번안한 두 편 산스크리트극 번안극을
하여 브레히트 자연적으로 연구했을 것이네 두 이론서들
노극과 원곡과는 달리 이에 대한 언급은 가능한 삼갔던 것이네.
하나 브레히트 산스크리트극에 대해 결코 침묵하지 않았지.
그런데 뜬금없이 1928년 『샤쿤탈라』 저자 칼리다사를 거론한 게야.
자기 지식을 『신 연극술』이란 글에서 이 이름 하나로 표명했지.
이 전제 없이는 산스크리트극 형식들 설명할 수 없는 게야,
브레히트는 초기 작품에 다양하게 산스크리트극 형식들 수용하고 있지.
그대를, 두 이론서 통해 산스크리트극 형식들 부리 찾을 게야.
(2023년 새해 벽두에, 독일 검은숲 언저리에서)
편저자 주경민은 경주시에서 출생하여 대구고와 성균관대학 독문학과 졸업후 독일 괴팅겐대학과 칼스루에대학에서 독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브레히트 서사극과 동양 연극“에 대한 다수 논문과 저서들이 있다. 사이버 묵상편지 “그리스도의 편지“ 저자이자 “필라복음신문“ 편집인,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며 독일에서 인문과학 분야 디지털콘텐츠사인 “BRECHT CODE“ 현재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이치 어문학에의 도전≪과 ≫서사극의 재발견≪의 공저와 성경 읽어주는 남자 시리즈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28권) (eBook, 1999년), 개인시집 (4권) - ≫독일 오동나무에 걸린 시뒤집는 시인의 사랑≪, ≫사대강의 노래≪, ≫신앙시와 소네트 시편≪, ≫[주경민 소네트 시집] 열네 줄 시열정≪과 ≫사랑 소네트 늑대와 천사≪가 있고 ≫브레히트 서사극 참뿌리, 인도 산스크리트 연극≪, ≫브레히트와 석가≪, ≫브레히트와 공자≪,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노자≪, ≫브레히트 서사극 - 동양 연극술 이전 연구≪, ≫서구 연극 변화시킨 3대 동양 고전희곡≪, ≫칼리다사와 샤쿤탈라≪, ≫브레히트 현대 서사극과 칼리다사 샤쿤탈라≪, ≫브레히트 일화≪, ≫브레히트 시 읽어주는 남자 1≪, ≫살아남은 자의 분노≪, ≫브레히트 서사극과 일본극≪, ≫브레히트 동·서 문학 융합≪, ≫브레히트 시(용)어 색인집≪ (쟝르별 7권) 외 다수 eBook 출간.
역서로는 ≫천사의 유혹≪ (브레히트 소네트 시집), ≫브레히트 - 사랑을 사랑한 사랑시집≪, ≫발레로 유럽 무대에 잘 알려진 춘향전≪ (발레 텍스트), ≫칼리다사의 샤쿤탈라≪ (희곡), ≫브레히트 동극≪, ≫브레히트 동시≪, ≫브레히트 동화≪, ≫브레히트 아동문학≪, ≫클라분트 – 소네트 애가≪, ≫클라분트 - 3음1색≪, ≫평화에 바치는 애(송)가≪, ≫클라분트 - 이백 (李 白) 번안시≪, ≫클라분트 – 천국 사닥다리≪, ≫독·불 시인들, 이백 (李白) 시며들다≪와 ≫독·불시에서 이백 (李白)의 시상 - 도자기 정자≪ , ≫소네트로 읽는 브레히트 문학과 삶≪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