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시)어 색인집 시리즈 - “포르케 묵자 (墨子, Me Ti)“를 펴내며
브레히트는 1920년대 독역본들을 통해 노자, 공자와 장자를 두루 접했으며, 이들과 접촉한 인상을 자신의 관점에서 피상적으로 자신의 작품에 인용하거나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덴마크 망명지에서 이들 중국 철학자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공자에 대해서는 희곡, 노자에 대해서는 연대시를 그리고 묵자 (墨子)에 대해서는 소설을 남기게 된다.
묵자와 관련된 원고들을 고려해 볼 때, 브레히트는 이미 베를린 시절인 1930/31년 경 포르케 (Afred Forke, 1867-1944) 교수의 독역 『사회 윤리학자 묵자와 제자들의 철학 저서』 를 접했으며 이를 자기 작품 『메티 소설』에 수용하고자 했다. 포르케 교수가 독역한 『묵자』를 바탕으로 브레히트가 정작 소설 제목은 당시 잘 알려진 독역 『주역 (周易)』에다 붙인 빌헬름 역 『주역. 변화의 서 (I Ging. Das Buch der Wandlungen)』의 부제목과 대조되는 『메티. 전환의 서 (Me Ti. Buch der Wendungen)』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로써 브레히트는 묵자를 자기 관점에서 당시 독일 내지 유럽의 사회적, 정치적 현실을 재해석하고 표현하고자 시도했다.
포르케 독역을 통해 묵가사상의 핵심이 유교적 노장사상과는 구별되는 통일적 사랑 또는 민족간의 형제애, 즉 하늘의 뜻에 따라 함께 (兼)하는 사랑, 즉 겸애 (兼愛) (겸애란 '모두에게 공평한 사랑'을 말함)를 중국에서도 여전히 금기시했지만, 독일에 노자, 장자와 공자와 비교될 수 있도록 묵자가 소개되었던 것이다.
이 당시, 서구가 아닌 동양에서 전형을 찾아 자기 문학에 수용하고자 했던 브레히트가 묵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묵자가 인류의 연대와 연합에 기초한 이런 윤리와 사랑, 논리의 가장 날카로운 무기로 전쟁을 극복하고 영원한 평화로 전환하는데 있음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묵가사상의 영향으로 브레히트가 자신의 소설을 이에 따라 주제를 잡고 당시 서구 사회의 비판적 관점을 기술하고자 했던 의도임을 알 수 있다.
브레히트가 노자의 『도덕경 (Tao te king)』을 통해 “중국인의 친절함“을, 크로우의 『공자 (Master Kung)』을 통해 “모범 소년 공자“를 파악하고 수용했다면, 묵자를 통해 “겸애, 평화, 사회비판적 철학“을 인지하고 『메티 소설』을 통해 피력하고자 했다. 이런 브레히트를 “부르주아 미학과 비극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맞서 싸울 증인과 동지를 찾기 위해 동양으로 나섰다“ 란 말로 마이어 (Hans Mayer)는 표현하고 있다. 마이어가 지칭하는 증인과 동지들 중에서도 브레히트에게 가장 든든한 증인과 동지가 바로 묵자 (墨子)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동양 철학자와의 접촉과는 달리, 포르케의 독역 『묵자』를 직접 소장하고 있었으며 연구해 자기 작품에다 수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브레히트 작품들 중에서 “동·서 융합“의 흔적이 가장 선명하게 드리워져 있음에도, 묵자와 연관성 있는 『메티 소설』은 브레히트 연구는 물론, 중국학 내지 중국 철학 전공자들에게 아직 더 깊이 연구해야 할 분야로 남아있다.
이에 관련 연구에 활성화를 위해 포르케의 독역 『묵자』를 전산화하고 컴퓨터 인덱스 작업을 마친 뒤에, 『용어 색인집』을 펴낸다. 이어 브레히트가 수용하고 이전한 『묵자』를 보다 광범위하게 손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포르케 독역 『묵자』와 브레히트 『메티 소설』 - 통합 용어 색인집“도 이어 출간할 것이다.
아무쪼록 연구자들이 브레히트가 자신의 작품에 묵자를 어떻게, 어느 정도 내용적으로 수용하고 융합했는지에 대해 보다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는 데 『포르케 메티 – 용어 색인집』이 유익한 길잡이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독일 검은 숲 언저리에서
2024년 초여름에
주경민
주경민은 경주시에서 출생하여 대구고와 성균관대학 독문학과 졸업후 독일 괴팅겐대학과 칼스루에대학에서 독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브레히트 서사극과 동양 연극“에 대한 다수 논문과 저서들이 있다. 사이버 묵상편지 “그리스도의 편지“ 저자이자 “필라복음신문“ 편집인,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며 독일에서 인문과학 분야 디지털콘텐츠사인 “BRECHT CODE“ 현재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이치 어문학에의 도전≪과 ≫서사극의 재발견≪의 공저와 성경 읽어주는 남자 시리즈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28권) (eBook, 1999년), 개인시집 (4권) - ≫독일 오동나무에 걸린 시뒤집는 시인의 사랑≪, ≫사대강의 노래≪, ≫신앙시와 소네트 시편≪, ≫[주경민 소네트 시집] 열네 줄 시열정≪과 ≫사랑 소네트 늑대와 천사≪가 있고 ≫브레히트 서사극 참뿌리, 인도 산스크리트 연극≪, ≫브레히트와 석가≪, ≫브레히트와 공자≪,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노자≪, ≫브레히트 서사극 - 동양 연극술 이전 연구≪, ≫서구 연극 변화시킨 3대 동양 고전희곡≪, ≫칼리다사와 샤쿤탈라≪, ≫브레히트 현대 서사극과 칼리다사 샤쿤탈라≪, ≫브레히트 일화≪, ≫브레히트 시 읽어주는 남자 1≪, ≫살아남은 자의 분노≪, ≫브레히트 서사극과 일본극≪, ≫브레히트 시(용)어 색인집≪ (쟝르별 7권) 외 다수 eBook 출간.
역서로는 ≫천사의 유혹≪ (브레히트 소네트 시집), ≫브레히트 - 사랑을 사랑한 사랑시집≪, ≫발레로 유럽 무대에 잘 알려진 춘향전≪ (발레 텍스트), ≫칼리다사의 샤쿤탈라≪ (희곡), ≫브레히트 동극≪, ≫브레히트 동시≪, ≫브레히트 동화≪, ≫브레히트 아동문학≪, ≫클라분트 – 소네트 애가≪, ≫클라분트 - 3음1색≪, ≫평화에 바치는 애(송)가≪, ≫클라분트 - 이백 (李 白) 번안시≪, ≫클라분트 – 천국 사닥다리≪, ≫독·불 시인들, 이백 (李白) 시며들다≪와 ≫독·불시에서 이백 (李白)의 시상 - 도자기 정자≪ , ≫소네트로 읽는 브레히트 문학과 삶≪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