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0 0 0 0 0 1개월전 0

폰 슈트라우스 시경 (詩經, Schi-King)

브레히트 문학과 연극에 융합된 명작 독어원서 19

서시 – 폰 슈트라우스 시경 (詩經, Schi-King) - 클라분트 번안시집 통해 「시경』 알게 된 브레히트 폰 슈트라우스는 유명한 중국 고전 독역으로 유명하다네! 하나는 1870년 노자 『도덕경 (Tao Te King)』을 다른 하나는 1880년 공자 『시경 (詩經, Schi-King)』을 이 두 권 번역이 독일 정신계에 미친 영향은 대단하다네 막스 베버, 되블린, 클라분트와 브레히트 대표적 예라네! 모두들 노자에게 보냈지: 신선한 경탄을 각자 수용하고 융합했지 무위 (無爲, Wu-Wie) 사상을 브레히트 표현대로 동양고전 통한 르네상스를 맞았다네. 폰 슈트라우스 『시경』은 시인 클라분트를 고무했지. 시집 『둔한 북소리와 취한 징소리』에 『시경』 시들 번안한 게야. ..
서시 – 폰 슈트라우스 시경 (詩經, Schi-King)
- 클라분트 번안시집 통해 「시경』 알게 된 브레히트

폰 슈트라우스는 유명한 중국 고전 독역으로 유명하다네!
하나는 1870년 노자 『도덕경 (Tao Te King)』을
다른 하나는 1880년 공자 『시경 (詩經, Schi-King)』을
이 두 권 번역이 독일 정신계에 미친 영향은 대단하다네

막스 베버, 되블린, 클라분트와 브레히트 대표적 예라네!
모두들 노자에게 보냈지: 신선한 경탄을
각자 수용하고 융합했지 무위 (無爲, Wu-Wie) 사상을
브레히트 표현대로 동양고전 통한 르네상스를 맞았다네.

폰 슈트라우스 『시경』은 시인 클라분트를 고무했지.
시집 『둔한 북소리와 취한 징소리』에 『시경』 시들 번안한 게야.
브레히트 이 시집 소장함으로써 중국시 처음 알게 되었지.

이태벡 시 뿐만아니라, 공자 『시경』 존재를 알게 된 게야.
하나 이태백 시인에 대해 단 4줄만 남겼지.
뤽케르트 「시경」은 브레히트 「중국시집」 내도록 고무한 게야.
***

브레히트 코드 (BrechtCode)에서 2023년부터 독일 고전작가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1956)가 자신의 문학에 융합했던 동양고전의 희귀본들을 연구자들을 위해 기획 발간하는 시리즈 열아홉 번째로 “ 폰 슈트라우스 시경 (詩經, Schi-King)“를 편저하게 되었다.
이 책은 1860년대 파리 세계박람회를 기점으로 프랑스와 독일에서 일어났으며 1920년대 독일에서 동양 붐이 일어나게 했던 발원지이기도 하다. 폰 슈트라우스 (Victor von Strauß, 1809-1899) 교수가1870년 출간한 『도덕경 (Tao Te King) 』에 이어 1880년 출간한 『시경 (詩經 Schi-king)』이 그것이다.
브레히트보다 앞서 폰 슈트라우스의 두 가지 역작에 영향을 입은 것은 친구인 천재 시인 클라분트 (Klabund, 1890-1928년)였다. 클라분트는 중국시 번안으로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1915년 출간한 전쟁 한시 번안집인 『둔한 북소리와 취한 징소리 (Dumpfe Trommel und berauschtes Gong)』 (BNB-Nr. 679)와1916년 출간한 번안시 단행본 『이태백 시 (Li-Tai-Pe. Gedichte)』이다.
브레히트는 1920년대 “동양 고전의 소생은 르네상스“라고 열광했지만, 이태백에 대한 짧은 4행을 남긴 것 이외는 동양철학자들 – 노자, 공자, 장자, 맹자, 묵자 – 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보였다. 물론 브레히트는 폰 슈트라우스 독역 『시경』이 아니라, 뤽케르트의 번안시인 『시경 (詩經, Schi-King)』 (BNB-Nr. 1090) 을 유고 도서관에 남기고 있다. 이것은 폰 슈트라우스가 『시경』을 의미 그대로 독역하고 해설한 것보다, 시인 뤽케르트가 『시경』의 시상과 모티브를 바탕으로 번안한 사실에 대한 시인 브레히트의 관심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브레히트의 관심은 결국 망명지 덴마크에서 월리의1938년 판 『중국시 170선』 을 접하고 난 뒤에 보인 백거이 시 번안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시리즈를 통해 국내에서 브레히트와 동양 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물론 동·서 문학 융합에 관심 있는 작가들과 이를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계속적인 연구를 위해 생산적인 자극과 아울러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을 바라마지 않으며…

(2025년 3월을 맞으며, 독일 검은숲 언저리에서)
폰 슈트라우스 (Victor von Strauß, 1809-1899년)는 종교사학자, 시인과 번역가로 활동했다. 그의 귀족 칭호는 독일 니더작센 왕가 출신 부인과 결혼함으로써 받게 되었다.
번역작으로 무엇보다도1870년중국 원전을 바탕으로 『도덕경 (Tao Te King) 』을 독역한 것과 이어 1880년 『시경 (詩經 Schi-king)』도 독역했다. 이 역서는 재판을 거듭하여 오늘날까지도 학문적으로 재인용되는 훌륭한 역서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그가 쓴 여러 시들이 독일 찬송가로 작곡되어 수록될 정도로 시인으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시적 감각으로 『시경』을 원전에 충실해 독역한 그의 시정신은 높이 살 만하다.

편저자 주경민은 경주시 출생, 대구고와 성균관대학 독문학과 졸업후 독일 괴팅겐대학과 칼스루에대학에서 독문학/사회학 전공, 브레히트 100주기를 위해1988년부터 브레히트 전집 전산화 작업, “마르가레테 스테핀 프로젝트“를기획 운영, 1998년 “브레히트 컴퓨터 인덱스 2000“ (BCI2000) 완성, “브레히트와 동양 연극“에 대한 다수 논문 발표, (주) 에바다 사장 역임, 독일 시의회 외국인 자문의원, 사이버 묵상편지 “그리스도의 편지“ 저자, “필라복음신문“ 편집인, 시인, 번역가로 활동 현재, 인문과학 분야 디지털 콘텐츠 사인 “BRECHTCODE“ 운영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