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0 0 5 0 0 20일전 0

브레히트 (Brecht)와 『전경 (轉經)』 oder 『역경(易經)』

전경 (Buch der Wendungen) 중심으로 본 브레히트 해설의 자의성과 오해

서시 – 브레히트와 『전경 (轉經)』 oder 『역경 (易經)』 - 묵자 (墨子, Mê-tse)와 브레히트 『전경 (轉經)』 사이에 생겨난 오해 1 브레히트 정독하면 금방 드러날 “흔적 지우기“ 했다네! 소위 서문격인 아히브 원고 (BBA 136/1, 134/36) 에서 했지. 영역자 스티븐 (Charles Stephen)과 익명의 독역 내세웠지 이로써 실존하지 않은 책과 영역/독역자로 전환시켰다네. 스티븐은 포르케란 이름으로 간단히 대체될 수 없다네. 포르케 독역 『Buch der Wendungen』도 될 수 없지 미완성작과 아무런 상관없는 파버 책 ‘서평‘일 뿐이지 지운 흔적 채 알기도 전 『전경 (轉經)』에 속한 원고로 말이네. 그럼 이제까지 연구에서 별별..
서시 – 브레히트와 『전경 (轉經)』 oder 『역경 (易經)』
- 묵자 (墨子, Mê-tse)와 브레히트 『전경 (轉經)』 사이에 생겨난 오해

1
브레히트 정독하면 금방 드러날 “흔적 지우기“ 했다네!
소위 서문격인 아히브 원고 (BBA 136/1, 134/36) 에서 했지.
영역자 스티븐 (Charles Stephen)과 익명의 독역 내세웠지
이로써 실존하지 않은 책과 영역/독역자로 전환시켰다네.

스티븐은 포르케란 이름으로 간단히 대체될 수 없다네.
포르케 독역 『Buch der Wendungen』도 될 수 없지
미완성작과 아무런 상관없는 파버 책 ‘서평‘일 뿐이지
지운 흔적 채 알기도 전 『전경 (轉經)』에 속한 원고로 말이네.

그럼 이제까지 연구에서 별별 추측들 도대체 무엇인가?
책 제목 때문에 추측했지: 삼경(三經)의 하나인 역경(易經)을
단지 빌헬름 독역 『Das Buch der Wandlungen』 때문이다.

아는가? 브레히트 애초 파버 책, 『전경 (轉經)』 이라 칭한 것을
주경민 『브레히트와 묵자』에서 그 흔적 최초로 찾아냈다.
브레히트 스스로 마지막 문장에 밝혔지: 파버 책 제목을!

2
『고대 중국 사회주의 기본사상 또는 철학자 묵자 가르침』이 원제목이네.
원래 제목에서 먼저 “사회주의 또는 (Socialismus oder)“ 지웠지.
그리고 브레히트 “묵자의 가르침 (Lehre des Micius)“도 살짝 감춘 게지
하여 『고대 중국 철학자의 기본 사상』이라고만 파버 책 암시했다네.

브레히트 파버 책, 『전경 (轉經, Buch der Wendungen)』이라 부른거네.
애초 “이 책은 중국 고전인 삼경 (三經)에 속하지 않는다“고도 했지.
결국 묵자 저서를 『전경 (轉經)』, 즉 경 (Buch, 經)으로 등극시켰지
미완성 소설도 같은 이름으로, 자신도 독일 ‘묵자 (Me-ti)‘된 것이네.

브레히트는 서문에서 감춘 흔적들 미완성 소설에다 복기했다.
현대 서구 사상들 관점에서 묵자와 고대 중국 사회주의 사상을
이런 “흔적 지우기“는 『역경 (易經)』 제목과 결부시키도록 했다.

내용적으로도 추정하도록 자극했다: 혹 『역경』 내용을?
이렇게 관련 연구들 “흔적 지우기“ 함정에 빠져들었다.
아는가? 브레히트 이렇게 『전경 (轉經)』으로 “메티 (Me-ti)“된 걸.

3
브레히트 지인 중, 이렇게 동양 철인된 시인 있지.
브레히트보다 먼저 도가 (道家)에 심취한 클라분트라네
『도덕경 (道德經)』 무위사상에 심취해 독일 노자 되었다네.
하여 1919년 시집 『3음1색 (Dreiklang)』 출간했지.

클라분트 『도덕경』 14장에서 세 가지 개념 발견했지
그게 바로 “I-hi-wei“, 즉 “이(夷)-희(希)-미(微)“였다네
브레히트 1920년부터 친구로, 작가로 서로 경쟁했다네.
산문 『예의바른 중국인들』로 부러움과 선한 경쟁심 보였지.

하여 노자, 공자, 장자, 맹자에 이르기까지 두루 섭렵한 게야.
그러다 마주했지: 겸애와 평화를 내세우는 철학자 묵자를
파버 책 『전경 (轉經, Buch der Wendungen)』을 처음 만난 게야.

곧바로 브레히트 쓴 것이다: 이 책에 대한 『서평』을
하여 『전경 (轉經)』 과 『역경 (易經)』 아무런 상관 없는 게야.
그대, 다시 정독해 보라! 원고 BBA 136/1, 134/36을!
주경민은 경주시에서 출생하여 대구고와 성균관대학 독문학과 졸업후 독일 괴팅겐대학과 칼스루에대학에서 독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브레히트 서사극과 동양 연극“에 대한 다수 논문과 저서들이 있다. 사이버 묵상편지 “그리스도의 편지“ 저자이자 “필라복음신문“ 편집인,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며 현재 독일에서 인문과학 분야 디지털콘텐츠사인 “BRECHT CODE“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이치 어문학에의 도전≪과 ≫서사극의 재발견≪의 공저와 성경 읽어주는 남자 시리즈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28권) (eBook, 1999년), 개인시집 (7권) - ≫독일 오동나무에 걸린 시뒤집는 시인의 사랑≪, ≫사대강의 노래≪, ≫신앙시와 소네트 시편≪, ≫열네줄 시 열정≪, ≫소네트로 읽는 브레히트 문학과 삶≪, ≫100 소네트≪와 ≫시詩100선≪이 있고 ≫브레히트 서사극 참뿌리, 인도 산스크리트 연극≪, ≫브레히트와 석가≪, ≫브레히트와 공자≪,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노자≪, ≫브레히트 서사극 - 동양 연극술 이전 연구≪, ≫서구 연극 변화시킨 3대 동양 고전희곡≪, ≫칼리다사와 샤쿤탈라≪, ≫브레히트 현대 서사극과 칼리다사 샤쿤탈라≪, ≫브레히트 일화≪, ≫브레히트 시 읽어주는 남자 1≪, ≫살아남은 자의 분노≪, ≫브레히트 서사극과 일본극≪, ≫브레히트 시(용)어 색인집≪ (쟝르별 7권), ≫소네트로 읽어주는 브레히트 시와 시론≪, ≫브레히트 동·서 문학 융합≪, ≫브레히트와 동양철학≪, 시리즈 ≫브레히트 문학과 연극에 융합된 명작 원서≪ (16권) 외 다수 eBook 출간.
역서로는 ≫천사의 유혹≪ (브레히트 소네트 시집), ≫브레히트 - 사랑을 사랑한 사랑시집≪, ≫발레로 유럽 무대에 잘 알려진 춘향전≪ (발레 텍스트), ≫칼리다사의 샤쿤탈라≪ (희곡), ≫브레히트 동극≪, ≫브레히트 동시≪, ≫브레히트 동화≪, ≫브레히트 아동문학≪, ≫클라분트 – 소네트 애가≪ 등 다수.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